로버트 자이언스(Robert Zajonc)의 사회 심리학에 대한 그의 가장 중요한 성과 중 하나는 단순 노출 효과(mere-exposure effect)입니다. 또한 사회적 촉진(Social facilitation) 분야와 정서적 신경 과학 가설과 같은 감정 이론에 대한 연구를 수행했습니다.그는 또한 비교 심리학에 기여했는데, 다른 종의 행동과 함께 인간의 사회적 행동을 연구하는 것이 사회적 행동의 일반 법칙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단순 노출 효과(Mere-exposure effect)
노출 효과(Exposure Effect)는 사회 심리학 용어로서 단순히 노출되는 횟수가 많아질수록 그 대상에 대해 호감이 증가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노출 효과는 사람들이 노출된 제품, 브랜드 또는 개인에 대한 정보를 기억하고 이를 어떤 방식으로든 신뢰하게 되는 현상을 설명합니다. 이러한 효과는 일반적으로 인지심리학에서 다루어지며, 사람들은 자주 보거나 경험하는 대상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익숙함과 관련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반복적인 노출은 정보의 인식과 기억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광고에서 제품이나 브랜드가 계속해서 노출되면 사람들은 해당 제품이나 브랜드에 대한 인식을 형성하게 됩니다. 이후에 유사한 상황에서 해당 제품이나 브랜드를 마주하게 되면 이전에 형성된 인식과 호감이 유지되며, 이는 구매 의사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친숙성의 원리는 사람들이 노출된 대상에 대해 친숙하게 여기고 호감을 갖는 경향을 설명하는 원리입니다.
반복적 노출(Repetitive Exposure)은 사람들이 반복적으로 어떤 대상에 노출될수록, 그 대상에 대한 친숙성이 증가합니다. 노출의 긍정적 경험 (Positive Experiences with Exposure)을 통해 사람들이 대상과 관련된 긍정적인 경험을 반복적으로 하게 되면, 그 대상에 대한 호감이 더욱 강해집니다. 단순 노출을 통한 선호의 형성은 대상에 대해 인지적으로 숙고한 결과이기보다 감정적으로 친숙하다거나 좋다는 반응에 해당하기 때문에 좋아하는 이유를 답하기 어려운 경향이 있습니다.
사회촉진이론 (Social Facilitation Theory)
사회적 촉진에 관한 첫 활성화 이론(activation theory)을 발표하였습니다. 로버트 자이언스는 1965년에 바퀴벌레 달리기 실험을 통해 사회적인 환경이 개체의 동작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실험에서 자이언스는 바퀴벌레를 여럿 넣은 우리에서 개체 수가 많을수록 개별 바퀴벌레의 이동 속도가 빨라진다는 결과를 발견했습니다. 이 실험은 ’자이언스의 사회 촉진 이론(Social Facilitation Theory)‘이나 ’사회 촉진 효과(Social Facilitation Effect)‘라고도 알려져 있습니다.
사회 촉진 효과는 개체가 다른 개체들과 함께 있을 때, 그들의 존재 자체가 개체의 동작이나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실험에서 바퀴벌레들은 서로를 보고 달리는 속도를 증가시킨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다른 개체의 존재가 개별 개체에게 동기를 부여하여 활동을 촉진시키는 효과를 보여줍니다.
자이언스의 바퀴벌레 달리기 실험은 사회적 상호작용이 개체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촉진 효과를 제시한 초기적인 연구 중 하나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바퀴벌레에 대한 그의 연구이며, 이 현상은 종에 관계없이 나타난다는 증거가 됩니다. 예를 들어 입시학원에 다니는 수험생이 주위에 있는 수험생의 영향으로 학습 성적이 올라갈 수 있습니다. 어떤 숙련된 과제를 수행하려는 사람이 다른 이의 존재에 의해 활동에 대한 ‘생리적 각성’이 높아지고 결과적으로 우성 반응이 촉진되다는 ‘우성 반응설’을 주창했습니다. 이는 이후 다른 사람이 자신의 작업을 평가하지 않을까 걱정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사회심리학 분야에서 사회적 영향력과 그 효과를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사회적 상호작용과 개체의 행동 간의 관계를 다루는 다양한 연구들에 영향을 주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