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 치료와 매체

미술 매체의 이해

미술치료사와 내담자 사이에서 라포(rapport) 형성을 위해서는 미술치료사와 내담자 간에 상호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관계를 형성하며, 예술적 표현을 통한 치료적 과정을 지원해야 합니다.

  1. 상호적인 신뢰와 안전한 환경 : 미술치료사는 내담자에게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야 합니다. 내담자는 미술치료사를 믿고 예술적 표현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합니다.
  2. 공감과 이해: 미술치료사는 내담자의 감정과 경험에 공감하고 이해해야 합니다. 내담자는 자신의 내면 세계를 자유롭게 표현하며 이를 미술치료사가 이해하고 수용해줄 것을 기대합니다.
  3. 비판적이지 않은 태도: 미술치료사는 내담자의 작품을 평가하거나 비판하지 않는 태도를 가져야 합니다. 내담자의 예술적 표현은 개인적이고 고유한 의미를 가지며, 그 자체로서 존중되어야 합니다.
  4. 개인화된 접근: 미술치료사는 각 내담자의 개인적인 요구와 성향을 고려하여 접근해야 합니다. 내담자의 예술적 스타일, 선호하는 매체 및 주제 등을 존중하고 그에 맞게 가이드하며 지원해야 합니다.
  5. 개방적인 의사 소통: 미술치료사는 내담자와 개방적이고 솔직한 의사 소통을 유지해야 합니다. 내담자가 작품을 통해 표현한 내용이나 감정에 대해 대화하고 탐구할 수 있어야 합니다.
  6. 상호적인 목표 설정: 미술치료사와 내담자는 함께 상호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협력하여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내담자의 요구와 필요에 따라 목표를 세우고, 예술적인 활동을 통해 그 목표를 추구해 나갈 수 있어야 합니다.

*”Rapport”라는 단어의 어원은 프랑스어에서 비롯되었습니다. “Rapport”는 “서로 상호 작용하다” 또는 “관계를 형성하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이 단어는 라틴어 “rapportare”에서 파생되었으며, “다시 가져오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사람들이 서로와 관계를 맺거나 의사 소통을 주고받을 때 정보, 감정 또는 경험을 공유하는 과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됩니다.”Rapport”는 상호작용과 의사 소통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간주됩니다. 적절한 상호작용과 의사 소통을 통해 사람들은 서로에게 더 잘 이해되고 편안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이는 치료, 상담, 교육 및 사회적 상호작용 등 다양한 상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Helen B. Landgarten의 미술 매체의 특성

내담자의 특성에 따른 매체 선택

미술 치료에서 내담자의 성격 특성을 고려하여 매체를 선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각 개인은 성격, 특성, 선호도 등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에, 그들에게 가장 적합하고 효과적인 매체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은 일반적인 내담자 성격 특성에 따른 매체 선택에 대한 가이드라인입니다:

  1. 표현력이 뛰어난 내담자 : 그림, 드로잉, 물감: 표현력이 뛰어난 내담자는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감정과 경험을 표현하는 데에 적합합니다. 그림, 드로잉, 물감 등 자유로운 표현이 가능한 매체를 사용하면, 그들의 창의성과 표현력을 적극적으로 발휘할 수 있습니다.
  2. 감각적인 내담자:조각, 목공예 : 감각적인 내담자는 손으로 소재를 다루고 조형하는 과정을 통해 자아 표현과 자기 식별을 탐구하는 데에 적합합니다. 조각이나 목공예와 같은 매체를 사용하면 손의 감각을 활용하여 작품을 만들어내는 동안 자기 표현과 집중력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3. 집중력이 떨어지는 내담자 : 색연필, 크레용: 집중력이 떨어지는 내담자에게는 색연필이나 크레용과 같은 단순한 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들은 다루기 쉽고 집중력을 촉진시키는 데에 도움이 되며, 간단한 선 그리기나 색칠하기를 통해 안정감과 집중력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4. 정서적인 내담자 : 콜라주와 같은 매체를 활용하여 이미지, 사진, 종이 조각 등 다양한 재료를 조합하여 감정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또한, 혼합 매체를 사용하여 색상, 질감, 형태를 다양하게 결합함으로써 복잡한 감정을 표현하고 해결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5. 체험 중심의 내담자 : 창작물 제작, 설치 미술: 체험 중심의 내담자에게는 창작물 제작이나 설치 미술과 같은 매체가 적합합니다. 이들은 소재와 재료를 활용하여 작품을 만들어내는 과정에서 실제적인 체험과 창조적인 과정을 경험할 수 있으며, 자아의식과 자기표현을 촉진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가이드라인은 내담자 성격 특성을 고려하여 매체를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매체 선택은 개인별로 다를 수 있으므로, 미술 치료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내담자의 요구와 우선순위에 맞게 매체를 결정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