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델링(Modeling): 모델링은 다른 사람의 행동을 관찰하고 이를 본따서 학습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모델링의 효과는 모델과 관찰자의 유사성, 모델의 지위와 신분관계, 신뢰의 정도와 전문성 여부, 모델 학습의 횟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납니다.
인지,기억(Cognition): 인지는 개인의 사고 과정과 정보 처리를 의미합니다. 인지 과정은 개인이 사회적 모델의 행동을 이해하고 내재화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인지는 행동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개인의 사고, 지식, 기대 등이 영향을 미칩니다.
자기조정, 자기규제(Self-Regulation): 개인이 자신의 행동을 조절하고 조정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모델링과 인지를 통해 습득한 지식과 사회적 규범을 바탕으로 자신의 행동을 조절합니다. 자기조정은 수행과정, 판단과정, 자기반응의 과정으로 이루어집니다.
자기 강화(Self-Reinforcement): 개인이 자신의 행동에 대해 스스로 보상이나 강화를 제공하거나 벌을 부과하여 자신의 행동을 조절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직접강호와 대리강화는 환경에 의해 주어지는 것이지만, 자기강화는 각 개인에 의해 의식적으로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인간의 행동은 전적으로 외적 영향에 좌우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이 자신의 감정, 사고, 행동을 통제할 수 있는 자기조절 능력을 가집니다.
상호 결정론(Reciprocal Determinism): 개인(인지), 환경, 행동 간의 서로 상호작용적 관계를 강조하는 이론적 개념입니다. 개인의 행동은 환경에 영향을 받으며, 동시에 개인의 행동도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상호작용적 관계를 강조합니다.
자기효능감(Self-efficacy)의 원천
성취경험(Achievement Experience): 이전에 어떤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거나 어려운 상황을 극복한 경험을 말합니다. 이러한 성취는 자기능력에 대한 자신감을 높여주며, 반두라는 자신이 어려운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믿을 수 있습니다.
대리경험(Vicarious Experience): 다른 사람의 성취나 경험을 통해 자기효능감을 형성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변 사람들의 성공 이야기나 모델로 삼을 수 있는 사례들을 접하면서, 자신도 그와 같은 성취를 이룰 수 있다는 믿음을 키울 수 있습니다.
언어적 설득(Verbal Persuasion): 언어적 설득은 타인으로부터 받은 긍정적인 피드백, 격려, 조언 등을 통해 자기효능감을 강화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타인으로부터 자신의 능력과 잠재력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받을 때, 자기에 대한 자신감이 증가하고 도전적인 상황에서도 더 높은 수준의 성과를 이룰 수 있는 믿음을 갖게 됩니다.
정서적 각성(Emotional Arousal): 개인의 자기효능감은 어떤 주어진 수행상호에서 개인이 느끼는 정서적 각성의 정도와 질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자기에 대한 긍정적인 감정을 갖고 있거나, 자신의 목표에 대한 열정과 동기를 가지고 있을 때 자기효능감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긍정적인 감정과 강한 동기는 반두라가 어려운 상황에서도 힘을 발휘하고 자신의 능력을 발전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관찰학습이 효과적으로 일어날 수 있는 조건
주의 집중 단계 (Attentional Phase): 관찰자가 모델의 행동에 주의를 집중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모델이 성(性), 연령에서 자신과 비슷할 때, 매력적이거나 존경을 받거나 지위가 높고 유능할 때 주의집중을 보다 많이 받는 경향이 있습니다.
파지(把持) 단계 (Retention Phase): 관찰한 행동을 기억하고 유지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 그것을 언어적 방법이나 심상을 사용하여 머릿속에 기억해야 하는데 모델을 관찰하는 동안모델이 행하는 것을 말로 되뇌이거나 시각적 영상을 만들어서 저장하게 됩니다. 정보를 인지적으로 저장하고 나면, 관찰 학습이 일어난 뒤 오래 시간이 경과해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재생 단계 (Reproduction Phase): 관찰한 행동을 자신의 행동으로 재생하기 위해서는 많은 연습이 필요합니다. 자신의 행동을 관찰하고 자신의 행동과 기억하고 있는 모델의 행동을 비교하면서, 계속 자기의 행동을 수정하여 모델의 행동을 재생할 수 있게 해주는 교정적 피드백이 필요합니다.
동기화 단계 (Motivation Phase): 모델의 행동을 습득하고, 기억하고, 능숙하게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더라도 그 행동이 바람직하게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면 그것은 행동으로 수정되지 않습니다. 행동에 대한 동기화, 행동을 스스로 바람직하게 받아들이는 자기강화(self-reinforcement) 과정이 요구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