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편한 진실과 안심시키는 거짓말

인지부조화(Cognitive dissonance)

인지부조화(congnitive dissonance)는 태도와 관련된 고전적 연구 주제 중의 하나로서, 둘 이상의 태도 사이 또는 자신의 행위와 태도 사이의 비일관성을 말합니다. 이 개념은 미국 심리학자 레온 페스팅거(Leon Festinger)가 1957년에 처음 제안하였습니다.

인지부조화는 사람들이 일관성과 일치성을 유지하려는 내재적인 욕구와 관련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개인이 특정한 가치관이나 믿음을 가지고 있을 때, 이와 반하는 정보나 경험을 마주하면 인지부조화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개인은 내부적으로 불안과 혼란을 느끼게 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동원합니다.

사람들은 자신들이 생각한 뒤에 행동한다고 믿지만 많은 경우 사람들은 행동을 먼저 한 후 그러한 행동에 맞춰생각을 하고는 하지. 이미 한 행동은바꿀 수 없기때문이야.

레온 페스팅커

인지 부조화의 감소 방법

  1. 부인 :부조화를 근절하기 위해 문제가 있다는 사실 자체를 부인하는 것으로 그러한 정보의 출처를 무시하거나 과소평가함으로써 문제의 존재를 부인하는 것입니다.
  2. 변경 : 자신의 기존 사고를 변경하여 일관성을 획득하고자 하는 것으로, 대개 자신이 틀렸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자신의 실수를 만회하기 위해 변화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3. 재구성 : 자신의 이해나 해석을 수정함으로써, 자신의 사고를 변경하거나 문제 자체의 중요성을 과소평가하며, 그것을 전혀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4. 조사 : 상대방의 입장에서 오류를 발견하고 그 출처를 의심하며, 자신의 관점이 사회적으로 확실한 지지를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찾겠다고 결심합니다.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는 경우, 자신이 실수를 저지르게 된 원인을 이해시키려고 하고 또한 자신의 행동이 옳다며 타인을 이해시키려합니다.
  5. 분리: 상충관계에 있는 태도를 각각 분리하여 자신의 인지를 확실히 구분하여 그 불일치를 무시하거나, 심지어 망각할 수 있다. 자신이나 타인의 삶 한 부분에서 일어나는 일이 다른 부분에 영향을 미쳐서는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6. 합리화 : 불일치를 수용할 수 없는 변명거리를 찾는 것으로서, 자신의 기대치를 수정하거나 실제로 일어난 일을 변경하려 하거나, 자신의 행동이나 의견을 정당화할 수 있는 이유를 찾습니다.

사례

어떤 사람이 더 이상 술을 먹지 않겠다고 다짐했다고 생각해보자. 그러나 소주 한 병을 마셨다. 이 때 부조화를 줄이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합니다.

  • 행동을 바꾼다. -> 소주를 더 이상 마시지 않는다.
  • 인지를 바꾼다(행동을 정당화한다). -> 조금씩은 마셔도 상관없다.
  • 새로운 인지를 통해 행동이나 인지를 정당화합니다. -> 적당량의 술은 신체에 긍정적이다.
  • 가지고 있는 믿음에 의한 정보를 무시하거나 부정한다. -> 소주는 술이 아니다.

인지 부조화의 구체적 조건

  • 행동의 선택 – 자발적 선택 : 태도와 관련되는 행동이 상황적 압력에 의해서가 아니라 스스로가 선택한 행동일 때 부조화를 경험합니다.
  • 돌이킬 수 없는 행동 – 취소 불가능한 개입 : 자신이 취한 행동을 취소할 수 없을 때 부조화를 경험합니다.
  • 행동의 결과 예측 – 불충분한 유인가 (부정적) : 자신이 선택한 행동이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를 가져올 것을 알거나 예견할 수 있었는데도 행동을 하면 부조화를 경험합니다.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