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울
거울속에는소리가없소
저렇게까지조용한세상은참없을것이오
거울속에도내게귀가있소
내말을못알아듣는딱한귀가두개있소
거울속의나는왼손잡이오
내악수를받을줄모르는악수(握手)를모르는왼손잡이오
거울때문에나는거울속의나를만져보지를 못하는구료마는
거울아니었던들내가어찌거울 속의나를만나보기만이라도했겠소
나는지금(至今)거울을안가졌소마는거울속에는 늘거울속의내가있소
잘은모르지만외로된사업에골몰할께요
거울속의나는참나와는반대(反對)요마는
또꽤닮았소
나는거울속의나를근심하고진찰할수없으니퍽섭섭하오
시인 이상의 ’거울’이란 표현은 추상적이며, 여러 가지 해석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여기서는 그 표현이 상상력과 자아를 연결시키는 방식으로 이해하고자 합니다.
- 상상력은 우리의 창의성과 능동적인 사고를 구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를 시인 이상의 ’거울‘로 비유한다면, 시인은 그 거울을 통해 세상을 반영하고 다양한 감정, 아이디어, 경험을 보여줄 수 있는 존재입니다. 이때 거울은 순전히 현실을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그 속에서 더 깊은 의미와 아름다움을 찾아내는 도구로서 작용합니다.
- 이러한 거울을 자아와 연결한다면, 우리 자신의 내면과 연결된 창의성과 감성을 더 잘 이해하고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자아는 우리의 신념, 가치관, 경험 등으로 형성되며, 이는 우리의 상상력을 통해 표현될 수 있습니다. 이상의 ‘거울’을 통해 우리는 내면의 감정과 생각을 보다 깊게 탐구하고, 그것을 예술적인 표현이나 창작물로서 구체화시킬 수 있습니다.
- 또한, 이러한 거울은 우리 자신의 한계를 넘어설 수 있는 도구로서 작용할 수도 있습니다. 우리는 종종 일상적인 현실에 갇혀서 좁은 시야로 사고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거울을 통해 우리는 더 큰 시야와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자아의 한계를 넘어서 새로운 가능성을 탐험하고 실현할 수 있습니다.
’거울’은 우리의 상상력과 자아를 연결시켜 더 깊은 의미와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발견하고 표현하는 도구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내면의 세계를 탐구하고, 그것을 예술과 창작을 통해 풍부하게 나타낼 수 있으며, 동시에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습니다.‘거울‘이라는 주제는 여러 시적 표현과 이해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여기서는 ’거울‘을 실존주의와 연관시켜 확장할 수 있습니다.
실존주의는 개인의 존재와 의미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하는 철학적 입방체입니다. 이것은 삶의 본질, 인간의 존재 이유, 무엇이 진정한 의미인지 등과 같은 깊은 질문들을 다루며, 종종 인간의 내면 세계와의 관계를 탐구합니다. ‘거울’은 이러한 실존주의적 이해와 깊은 연결을 가질 수 있습니다.
- 자아의 탐구: 실존주의는 자아의 본질과 이해에 중점을 둡니다. ‘거울’은 외부의 세계를 반영하듯이, 내면의 세계도 반영될 수 있는 도구로 볼 수 있습니다. 실존주의적 관점에서 ‘거울’은 자아의 본질과 이해를 탐구하는 도구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우리는 거울을 통해 자아의 모습을 보고, 그것을 통해 자아를 더 깊이 이해하게 될 수 있습니다.
- 타인과의 관계: 실존주의는 타인과의 관계와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거울’은 타인을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다른 사람의 행동과 반응은 종종 우리 자신에 대한 투영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거울’은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우리 자신을 발견하고 이해하는 도구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 무의미성과 의미: 실존주의는 종종 인생의 무의미성을 다룹니다. ‘거울’은 외부 세계를 보여주지만, 그 속에서 무엇이 진정한 의미를 가지는지를 찾는 과정을 상징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외부의 모습을 통해 내면에서 의미를 찾고, 이를 통해 실존적인 질문들에 대한 답을 탐색할 수 있습니다.
- 변화와 성장: ‘거울’은 변화와 성장을 나타내는 상징적인 요소입니다. 실존주의는 변화와 성장을 통해 자아의 발전을 중요시합니다. “거울”을 통해 우리는 시간이 지나면서 변화하는 모습을 관찰하고, 이를 통해 인생의 변화와 성장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거울’은 실존주의와 연관짓을 때, 우리 자아와 타인, 의미와 무의미성, 그리고 변화와 성장과 같은 실존주의적 주제들을 다루는 데 사용될 수 있는 풍부한 상징적 도구로 볼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자아의 본질과 인생의 의미를 탐구하며, 내면의 세계와 외부 세계 간의 관계를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