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두효과Primacy effect

미국의 사회심리학자 솔로몬 애쉬(Solomon Asch)의 실험으로 만약 개인이 처음 만난 사람에 대해 부정적인 정보를 받게 된다면, 애쉬의 초두효과에 따라 이 초기의 부정적인 정보가 개인의 인상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그로 인해 이후에 받는 긍정적인 정보들도 왜곡되어 부정적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습니다. 이는 인상 형성의 지속성과 초기 정보의 강세화로 설명됩니다.

두 집단의 대학생들에게 어떤 사람이라고 소개하는 경우

  • 집단 1 : 똑똑하다 – 근면하다 – 즉흥적이다 – 비판적이다 – 고집이 세다 – 시기심이 많다
  • 집단 2 : 시기심이 많다 – 고집이 세다 – 비판적이다 – 즉흥적이다 – 근면하다 – 똑똑하다
  • 집단 1의 경우 동일한 사람을 훨씬 더 성공적이고 사회적으로 원만한 사람으로 평가하였는데, 이는 처음 들어온 정보가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초두효과(Primacy effect)의 발생 원인

  1. 맥락 효과 (Context Effect) : 맥락 효과는 초기 정보가 개인의 인상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처음에 받은 정보는 인상의 맥락을 형성하고, 이후에 받는 정보들은 이 초기 맥락과 일치하도록 해석되거나 왜곡될 수 있습니다. 맥락 효과는 초기 정보가 개인의 인상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하는데, 초기 정보가 인상의 맥락을 제시하고 이후의 정보를 처리할 때에도 그 맥락을 고려하게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2. 주의 감소 효과 (Attentional Bias) – 후기정보에 대한 주의 감소: 초기 정보가 개인의 주의를 독점하고, 이후의 정보에 대한 주의가 감소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초기 정보는 개인의 주의를 끌고 관심을 높이게 만들며, 이후의 정보는 이러한 초기 정보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주목되고 처리되는 경향을 보입니다. 이로 인해 초기 정보에 대한 인상 형성이 지속되며, 개인은 이후의 정보를 초기 정보와 일치하도록 해석하거나 왜곡할 수 있습니다.
  3. 중요성 절감 효과 (Devaluation of Importance) – 후기정보에 대한 중요성 감소: 초기 정보가 이후의 정보에 대한 중요성을 상대적으로 절감시키는 현상을 말합니다. 초기 정보는 개인에게 더 큰 중요성과 가치를 부여받으며, 이후의 정보는 상대적으로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여겨질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초기 정보가 개인의 인상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고, 이후의 정보는 이 초기 정보에 따라 해석되거나 평가되는 경향을 보입니다.

비교) 신근성 효과, 최신효과 (Recency Effect)

초두효과의 예외적인 경우로, 나중에 들어온 정보가 인상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경우이며 다시 말하면, 최근에 들어온 정보가 중요한 경우입니다. 나중에 제시된 정보가 더 잘 기억되고 인상 형성에 더 큰 영향력이 있습니다.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