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과 반복학습 (Overlearning): 초과 반복학습은 친숙하지 않는 정보를 계속해서 학습을 할 때, 학습자는 정보를 단순히 반복하는 것이 아니라, 재조직하고 변형시켜서 받아들이므로 이로 인해 이해와 기억이 증진됩니다. 이 전략은 정보를 오랫동안 기억하기 위해 기억력을 강화하고 반복적으로 학습함으로써 장기적인 기억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반복학습을 통해 정보를 여러 차례 반복하여 기억력을 향상시키고, 지속적인 복습을 통해 잊어버리지 않도록 합니다.
정교화(Elaboration): 새로운 정보를 기존 지식과 연결하고 확장시키는 과정입니다. 이 전략은 정보를 단순히 외우는 것이 아니라 의미있게 이해하고 내재화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장기기억 속에 있는 기존 지식과 많은 연결고리가 형성되면 인출 단서(Cue)가 많아져 원래의 정보에 쉽게 도달할 수 있게 됩니다. 즉, 새로운 정보를 기존 지식과 관련짓고 상세하게 탐구함으로써 장기적인 기억을 강화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조직화(Organization): 따로따로 떨어진 별개의 정보들에게 질서를 부여하면, 의미가 연결되기 때문에 더 많은 양을 오래 기억하는 데 도움이 된다. j,h,n,v,s,r,o,c,e,e 라는 방식보다 John loves her라는 문장이 쉽고 오래 기억되는 것과 같은 경우입니다.
맥락화(Context): 물속에서 외운 것은 물속에서 더 잘 기억함. 정보를 특정한 맥락이나 상황과 연결하여 기억력을 향상시키는 과정입니다. 정보를 장소, 특정한 날에 느꼈던함정, 함께 있었던 사람 등과 같은 물리적, 정서적 맥락(상황)과 함께 학습하면 그 정보를 기억하고 재생해 내는 것이 더 쉬워집니다. 정보를 추상적이거나 독립적인 형태가 아닌 실제 상황과 연결하여 이해하고 기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암송(Rehearsal): 정보를 반복해서 말하거나 쓰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정보를 내적으로 반복하거나. 소리 내어 반복해서 기억흔적을 단기기억에 유지시켜 주는 방법입니다. 단기기억 내에 있는 정보를 많이 암송 할수록, 정보가 장기기억으로 더 잘 전이됩니다. 이 전략은 정보를 장기적으로 기억하기 위해 읽은 내용을 반복적으로 말하거나 써서 자기 스스로에게 익히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정보를 반복적으로 복습하고 활용함으로써 기억력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