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의 정신분석이론 Psychoanalysis
- 심리적 결정론 – 인간의 행동, 사고, 감정은 무의식적인 성적 본능과 공격적 본능에 의해 결정된다.
- 갈등의 존재 – 본능이 추구하는 쾌락과 현실의 감동, 자아와 외부세계와의 갈등, 적극성과 수동성의 갈등이 인간을 지배, 인간은 삶이 지속되는 한 갈등을 겪는다.
- 유아기 경험 중시 – 생후 6년간의 경험에 의해 결정되며, 이러한 성격구조는 성인이 되어서도 변하지 않고 축적된다.따라서 현재를 바꾸기 위해서는 과거의 축적물들을 변화시켜야 한다.
정신의 구조 (지형학적 원리)
인간의 정신 생활을 구성하는 세 가지 구조인 “의식 (consciousness)”, “전의식 (preconscious)”, “무의식 (unconscious)”입니다. 프로이트는 무의식이 인간의 행동과 정신적인 현상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했습니다.
- 의식(conscious) :개인이 현재 인식하고 있는 정보와 경험의 일부를 포함합니다. 의식에는 현재 인식되는 생각, 감정, 감각이 포함되며, 우리가 일상적으로 인식하고 알고 있는 내용들이 의식에 속합니다.
- 전의식(preconscious) : 현재는 의식에 포함되지 않은 정보와 경험의 일부를 포함합니다.전의식은 의식으로 쉽게 끌어올릴 수 있는 상태이며, 접근이 가능한 장소입니다. 예를 들어, 기억에서 잠시 잊혔지만 떠오르는 것들이 전의식에 속합니다.
- 무의식(unconscious) : 의식과 전의식보다 더 깊은 수준의 내용을 포함합니다. 무의식은 우리가 의식적으로 인식하지 못하는 생각, 욕구, 욕망, 충동, 트라우마, 원시적인 욕구 등을 포함합니다. 프로이트는 무의식이 인간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개인의 정서와 행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믿었습니다. 무의식의 내용은 일부는 의식으로 끌어올릴 수 있으나 일부는 의식으로 쉽게 접근할 수 없고 숨겨져 있는 상태입니다.
프로이트는 이러한 정신의 구조들이 서로 상호작용하고, 충돌하며, 억제되는 과정을 통해 개인의 행동과 정서를 형성한다고 믿었습니다. 특히, 무의식은 정신분석학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다루어지며, 환자와의 대화를 통해 무의식적인 과정을 해석하고 해결하는 데 주요한 역할을 합니다.

성격의 구조 (구조적)
프로이트는 인간의 성격을 구성하는 세 가지 구조를 제시했습니다. 이들은 “원초아 (id)“, “자아 (ego)”, “초자아 (superego)“라고 불립니다. 이러한 성격 구조는 개인의 욕구와 사회적인 규범 사이의 상호작용을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
- 원초아 (id) : 무의식적이고 원초적인 성격의 구성요소로, 태어날 때부터 존재합니다. 즉각적인 성욕 충동과 욕구를 표현하며, 즉시 만족을 추구합니다. 본능적인 욕구를 표현하는 원칙에 따라 작동하며, 현실적인 제약과 규범을 고려하지 않습니다.
- 자아 (ego) : 현실적인 성격의 구성요소로, 원초아와 초자아 사이에서 조정자 역할을 합니다. 자아는 현실의 제약과 사회적 규범을 고려하여 원초아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적절한 방법을 찾습니다. 자아는 현실성 원칙에 따라 작동하며, 논리적인 사고와 문제 해결 능력을 사용하여 원초아와 초자아 사이의 갈등을 해소합니다.
- 초자아 (superego) : 도덕적인 성격의 구성요소로, 사회적인 규범과 가치관을 내면화한 것입니다. 초자아는 인간이 사회적으로 받아들여지는 행동과 동기를 제어합니다. 초자아는 양심이나 도덕적인 가치에 따라 원초아의 욕구를 억제하거나 통제합니다. 이는 개인이 사회적인 기준과 규범에 따라 행동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심리 성적 발달 단계
인간은 생물학적 욕구와 사회적 영향을 받아 성장하고 발달하는데, 이를 심리적 발달 단계로 설명하였습니다. 이 심리적 발달 단계를 프로이트의 심리적 발달 이론이라고 합니다. 프로이트의 심리적 발달 이론에 따르면, 인간은 다섯 가지 단계를 거쳐 성장하고 발달한다고 주장했습니다.
- 구강기 (Oral Stage) : 출생 후 약 1년 동안의 단계로, 입안을 중심으로 즐거움과 불만족을 경험하는 단계입니다. 구강 단계에서는 입으로 세상을 탐구하고, 식사와 유아식품을 중심으로 만족과 충족을 찾으며 발달합니다.
- 항문기 (Anal Stage) : 1~3세 사이의 단계로, 배설과 관련된 활동에 집중합니다. 소변과 대변을 조절하는 것이 주요 관심사이며, 부모의 훈육 방식에 따라 체위와 깔끔함에 대한 관심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 남근기 (Phallic Stage) : 3~6세 사이의 단계로, 성 정체성과 성적 욕구의 발달이 주요 관심사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동성 부모와 동성자에 대한 호감과 대립이 나타날 수 있으며, 오이디푸스 컴플렉스(Oedipus complex)와 일렉트라 컴플렉스(Electra complex) 등의 개념이 등장합니다.
- 잠복기 (Latency Stage) : 6세 이후의 단계로, 성적 욕구가 잠시 잠식되고 사회적 활동과 학습에 집중하는 시기입니다. 성적적인 에너지는 사회적, 학문적 활동으로 방향을 전환합니다.
- 생식기 (Genital Stage) : 청소년기 이후의 단계로, 다른 사람들과의 성적 관계를 형성하고 만족시키는 능력의 발달이 중요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성적 욕구와 사회적 상호작용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