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기억(Working memory)

베들리(Alan Baddeley)와 히치(Graham Hitch)의 작업 기억 모델은 음운루프(Phonological Loop)시공간 메모장((Visuo-spatial Sketchpad)이 상호작용하여 작업 기억을 처리하고 유지하는 방식을 설명합니다. 음운루프는 언어적인 정보에 관여하고 음운을 저장하고 반복하여 정보를 유지합니다. 시공간 메모장은 시각적이고 공간적인 정보를 처리하며, 상상력과 이미지 기억에 관여합니다. 이러한 두 하위 시스템이 협력하여 우리가 정보를 처리하고 기억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배들리와 히치의 작업 기억 모델은 기억을 단기 기억과 작업 기억으로 나누어 설명하는데 중점을 둡니다.

작업기억은 인간의 정보 처리 및 임무 수행과 관련된 일시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기능을 가리킵니다. 이는 일시적인 정보를 저장하고 조작하며, 주의력의 관리와 관련된 역할을 합니다. 작업기억은 중요한 정보를 보다 오래 기억하기 위해 장기 기억으로 전달될 수도 있습니다.

1) 음운루프 (Phonological Loop): 청각 언어 정보 (언어정보를 일시적으로 처리하고 저장)

언어정보를 일시적으로 처리하고 저장하는 음성 정보와 관련된 작업을 처리하는 시스템입니다. 음운루프에는 두 가지 하위 구성 요소가 있습니다.

  • 음운 저장고 (Phonological Store): 청각적 신호를 음운적 표상으로 부호화하여 약1.5 내지 2초의 짧은 시간 동안 음운 저장고에 파지 및 저장하게 됩니다.
  • 조음 통제 과정 (Articulatory Rehearsal Process) : 음운루프의 주요 기능 중 하나로, 정보를 유지하기 위해 말을 내부적으로 반복하는 과정입니다. 내적인 소리(Inner voice)라고도 불리는 조음통제과정은 입력된 말소릴 정보를 계속 유지하는 역할을 담당함으로써 이를 통해 정보를 기억하고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2) 시공간 메모장 (Visuo-spatial Sketchpad) : 시각.공간 (시각적 심상들을 일시적으로 처리하고 저장)

시각적 정보와 공간적 정보를 처리하는 시스템입니다. 시각적 이미지의 유지, 회상, 공간 조작 등을 담당합니다. 언어자극으로부터 부호화된 시각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시각적 기억폭과제와 암산과제로 구성된 이중과제 연구에서 시공간 메모장이 음운루프와는 독립적인 성분임을 밝히기도 하였습니다.

3) 중앙 집행기 (Central Executive): 중앙관리자 (통합, 통제,판단)

작업기억의 주요한 조절자 역할을 수행하는 시스템으로 음운루프와 시공간 메모장은 물론 일화적 완충기로부터 정보를 통합하여 주의통제나 판단과정을 처리하지만, 정보를 저장하지는 않는다고 합니다(Richardson, 2007). 즉, 음운루프와 시공간 메모장은 비교적 낮은 수준의 정보처리를 담당하는데 비하여 중앙관리자는 높은 수준의 정보처리를 담당하고 언어의 이해와 추론에도 관여합니다. 또한 관련 정보에 대해서 주의집중을 하지만, 장기기억에 저장된 정보 중 입력된 정보와 관련이 있는 정보만을 인출하고 관련이 없는 정보는 인출하지 못하도록 통제하는 정보재생의 억제적 통제과정(inhibitory control)의 역할을 담당하기도 합니다.

4) 일화적 완충기 (Episodic Buffer): 장기기억의 일화적 정보 통합

베들리와 그의 동료들에 의해 25년이 흐른 후, 추가된 요소로 조음루프, 시공간 메모장 및 장기기억으로부터 정보를 모으고 통합할 수 있는 임시저장소의 역할을 하는데, 일화적 완충기에 저장된 정보는 언어적 또는 시공간적 형태입니다. 사람은 이러한 일화적 완충기를 통해서 이전의 경험을 해석하고, 새로운 문제를 해결하며, 미래의 활동을 계획할 수 있도록 정보를 능동적으로 조작한다고 합니다.

참고자료 및 그림출처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