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상상력에 대한 소개한 책 중 가장 인상 깊었던 책이 유발 하라리(Yuval Noah Harari)의 ’사피엔스: 인류의 역사’(Sapiens: A Brief History of Humankind)였습니다. 신화와 종교가 생겨날 수 있었던 것이 상상할 수 있는 능력 때문이라는 견해가 신선했습니다. […]

인간의 상상력에 대한 소개한 책 중 가장 인상 깊었던 책이 유발 하라리(Yuval Noah Harari)의 ’사피엔스: 인류의 역사’(Sapiens: A Brief History of Humankind)였습니다. 신화와 종교가 생겨날 수 있었던 것이 상상할 수 있는 능력 때문이라는 견해가 신선했습니다. […]
고흐의 ‘구두 한 켤레’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Hans Christian Andersen)의 ’빨간 구두'(The Red Shoes)를 주인공의 정체성과 신분을 나타낸다는 얘기를 들었을 때, 빈센트 반 고흐(Vincent van Gogh)의 ’구 두 한 켤레‘가 생각이 났었습니다. 고흐는 살아생전 자신이 그림 신발 그림에 […]
설화를 배경으로 한 그림 속 인문학 설화에는 어떤 힘이 있을까? 설화는 다양한 힘과 영향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러한 힘들은 설화가 사회와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과 관련이 있습니다. 그 중 김숙현 강사님은 설화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창조성을 키우는데에 도움을 […]
설화란 무엇인가? 군포시도서관에서 2023년 상반기 운영하는 길 위의 인문학 프로그램은 ‘다시 한 번 피어나는 군포설화’입니다. 25회차로 운영되고 강연 21번, 탐방3번, 후속 모임 1번으로 운영됩니다. 주강사 선생님은 장은아(동화작가), 김숙현(그림책작가)이고 객원강사는 이영경(그림책작가), 오은희(소설가), 이은기(그림작가), 백동렬 (그림작가), 이혜리(영상작가)입니다. […]
감정을 통한 자아 정체감 찾기 3회차에 들어선 이번 활동은 감정을 통해 자아정체감을 찾아가는 시간이었습니다. 감정 빙고게임을 하면서 하나의 주제를 선택해 떠오르는 감정단어 16개를 적어야 했는데 빈 칸이 무색할 만큼 다 채우기가 힘들었습니다. 언어의 빈곤이 감정의 […]
미술 매체의 이해 미술치료사와 내담자 사이에서 라포(rapport) 형성을 위해서는 미술치료사와 내담자 간에 상호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관계를 형성하며, 예술적 표현을 통한 치료적 과정을 지원해야 합니다. *”Rapport”라는 단어의 어원은 프랑스어에서 비롯되었습니다. “Rapport”는 “서로 상호 작용하다” 또는 […]
정신분석적 성격이론은 다양한 원리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개인의 성격 구조와 발달, 행동의 동기와 패턴 등을 이해하는 데에 활용됩니다. 1.지형학적 원리(Topographic Principle): 이 원리는 심리적 구조를 지도화하는 것을 강조합니다. 정신 분석가는 무의식, 의식, 전의식이라는 세 가지 영역을 […]
자아 정체감 자아 정체감은 개인이 자신의 고유한 성격, 가치, 신념, 특성, 역할 및 관계 등에 대한 인식과 이해를 가지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개인이 자기 자신을 누구로서 인식하고 인지하며, 자신의 고유한 신원을 개발하는 과정을 포함합니다. 자아 […]
나는 내가 아니다 눈에는 보이지 않아도 언제나 내 곁에 있는 자 이따금 내가 만나지만 대부분을 잊고 지내는 자, 내가 말할 때 곁에서 조용히 듣고 있는 자, 내가 미워할 때 容恕(용서)하는 자, 가끔은 내가 없는 곳으로 […]
미술심리상담지도자 2급 두 번째 수업에서는 미술치료의 역사적 고찰과 심리학 이론의 6가지 관점에 대한 이론 수업 및 긴장 완화를 목표로 하는 ’예쁜 내 얼굴‘ 만들기와 감정카드를 사용한 ’감정 공감체험‘ 활동을 하였습니다. *‘예쁜 내 얼굴 만들기’활동 요령 […]